2조 4천억 규모 예산 투입, 지역 혁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가 2025년 전국 시행을 앞두고 본격적인 준비를 마쳤다. 교육부와 라이즈위원회는 12월 27일 서울 달개비에서 ‘제4차 라이즈위원회’를 열고 17개 시도별 라이즈 기본계획과 지원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대학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며, 국가 차원의 지역 혁신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라이즈는 지역 대학이 중심이 되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혁신 플랫폼이다. 지역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각 시도가 자체적으로 수립한 5개년 기본계획(2025~2029)은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 생태계 구축’이라는 비전을 제시한다.
올해 5월, 17개 시도가 라이즈 추진을 위한 지역라이즈센터 지정을 완료했으며, 2025년 사업비 2조 4천억 원 규모의 국비와 지방비 편성도 확정되었다. 시도별 계획은 각 지역의 강점을 살린 대표 과제를 포함하며, 지역의 독창적 혁신 모델로 발전할 예정이다.
서울은 창의·디지털 산업 기반을 활용해 글로벌 산학협력을 선도하며, 부산은 글로벌 혁신 인재를 유치하는 ‘부산형 오픈UIC’를 추진한다. 대구는 미래모빌리티와 반도체 등 5대 산업 중심의 현장 캠퍼스를 통해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인천은 원도심 재생을 위해 도심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광주는 중소기업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연구개발(R&D) 실증 스튜디오를 조성하며, 대전은 출연연 연구소와 대학 간 협력을 통해 지역 맞춤형 혁신 모델을 구축한다. 세종은 도시 전체를 하나의 캠퍼스로 삼는 ‘한두리캠퍼스’를 운영하며, 경기는 ‘초격차 산학연 얼라이언스(GAIA)’를 통해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북은 창업 캠퍼스를 구축해 지역 정주율을 높이고, 충남은 지역취업 보장형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강원과 경북은 각각 공유대학 모델과 ‘1시군-1대학’ 프로젝트로 교육과 산업을 연결하며, 제주와 경남은 케이(K)-교육 및 지역 특화산업에 기반한 미래 성장동력을 구축한다.
교육부와 라이즈위원회는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5개년 기본계획인 ‘라이즈 지원전략’을 마련했다. 이 전략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특색 있는 종합계획 지원 △사업 운영 자율성 강화 △성과 관리 체계 구축 등 네 가지 영역을 포함한다.
각 지역은 자율적으로 라이즈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중앙정부는 지역 맞춤형 과제와 지원책을 제공한다. 또한, 지역라이즈위원회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강화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혁신 모델을 도출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부터 시도별 세부 시행계획이 수립되고, 지역 대학 선정 및 구체적 사업이 추진된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라이즈가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끄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며, “교육부는 지자체와 대학의 자율적 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헌영 라이즈위원회 위원장도 “라이즈는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모델”이라며, “현장 안착과 조기 성과 창출을 위해 민간 전문가와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