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기도가 개천절부터 추석, 한글날까지 이어지는 긴 황금연휴를 맞아 도내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 10곳에서 특별 기획전을 잇따라 선보인다.
모든 전시는 무료로 관람 가능하며, 추석 당일인 6일만 휴관한다.
이번 전시는 인물·역사·환경·예술 등 주제를 아우르며, 세대와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됐다.
경기도박물관은 오는 10월 10일까지 광복 80주년 기념전 ‘여운형: 남북통일의 길’을 연다.
좌우합작과 민족 통합을 위해 헌신한 여운형의 삶을 유물과 기록 자료를 통해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용인시박물관에서는 ‘흥.화. 잊혀진 교실을 열다’(~10.14)를 통해 근대 교육기관 ‘흥화학교’의 유물과 졸업증서를 전시, 개화기 학생들의 일상과 교육 현장을 복원했다.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은 ‘조문기의 시한폭탄은 아직 터지지 않았다’(~10.14)를 열어 부민관 폭파 의거를 중심으로 항일운동가 조문기의 결연한 정신을 조명한다.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의 도시: 태양에 녹아드는 바다’(~10.12)를 통해 도시를 미디어 인터페이스로 바라본 백남준과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경기도미술관의 전시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10.15)는 기후 위기 시대의 회복과 공존을 주제로, 현대미술을 통해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실학박물관은 ‘추사, 다시’(~10.13)에서 김정희의 서예와 철학을 현대 미술적 시각으로 재해석해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보여준다.
김홍도미술관은 ‘모두의 그림, 김홍도 촉감화’(~10.12) 전을 통해 시각 대신 촉각으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를 마련, 예술 접근성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에서는 ‘침묵 속의 무장, 남한산성 2.0’(~10.14)을 열어 병자호란 이후 남한산성의 재정비와 조선의 자주성을 보여준다.
화성시역사박물관은 ‘옷자락, 기억의 자락’(~10.15) 전시를 통해 1960~90년대 복식과 생활 자료를 통해 시대별 생활문화와 정서를 담았다.
부천시립박물관의 ‘다르지만 같은–말, 삶, 곳 展’(~10.13)은 시민이 기증한 물건과 사연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감의 장을 연출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연휴 기간, 멀리 떠나지 않아도 도내 곳곳에서 다채로운 전시를 즐길 수 있다”며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문화를 통해 휴식과 사색의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고 전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