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수험신문=이선용 기자] 공정채용에 대한 사회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AI의 도입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인사담당자 222명을 대상으로 ‘채용 공정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60.8%가 공정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인사담당자들이 공정한 채용을 위해 필요한 것 1위로 꼽은 것은 ‘명확한 평가 기준 확립(60.7%, 복수응답)’이었다. 이어 ▲공정한 채용 솔루션 서비스 도입 31.1% ▲AI 평가 등 객관적 평가 시스템 마련 25.2% ▲부모 이력 등 불필요한 개인정보 미수집 18.5% ▲공개 채용으로만 채용 진행 14.8% ▲전형별 평가 기준 공개 11.9% 등이었다.
특히, 인사담당자의 54.5%는 AI(인공지능) 기술을 채용에 접목시키는 것이 불공정한 평가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실제 공정한 채용을 위해 ‘인공지능 채용 평가 시스템을 도입할 의향이 있다’라고 밝힌 기업이 44.6%나 됐다.
AI가 채용 공정성 강화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사람의 주관적인 편견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76.9%(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즉, 평가를 진행하는 인사담당자도 사람인 만큼 나이, 성별, 학벌 등 평가와 관계없는 요소들로 인한 후광효과나 편견을 완전히 지우기 어려울뿐더러 컨디션에 따라 평가 기준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명확한 평가 기준이 확립될 것 같아서’(35.5%), ‘투명한 채용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어서’(33.1%), ‘채용 청탁 등의 부정을 방지할 수 있어서’(18.2%) 등을 이유로 들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채용 공정성에 대한 이슈가 몇 년째 계속되면서 ‘블라인드 평가 방식’을 도입하는 등 기업 나름대로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실제 구직자들이 체감할 수 있을 만한 효과를 보기에는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불공정한 채용 근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계속되면서 AI 채용 시스템이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AI가 채용 업무를 모두 대체할 수는 없지만, 단순 업무 최소화,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평가 근거 제공등의 방식으로 적절히 활용된다면 공정한 채용을 돕는 편리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기업들은 자사의 채용 공정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평균 77점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기업 절반가량(48.6%)은 서류전형 진행 시 불공정한 요소가 있다고 답했다. 불공정한 서류 평가 항목(복수응답)으로는 △나이 46.3% △학력 37% △성별 33.3% △출신학교 27.8% △가족 이력 8.3% △종교 7.4% 등으로 조사됐다.
또, 면접 진행 시 불공정한 질문 항목으로는 ‘결혼, 연애, 출산’(49%,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나이’(37.8%), ‘부모님 등 가족 관련’(20.4%), ‘회사 지인 여부’(14.3%), ‘종교, 정치성향 등 가치관’(11.2%) 등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