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점점 사람이 설 자리가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실제 직장인들은 AI가 본인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605명을 대상으로 ‘AI 발달로 인한 일자리 대체 위기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10명 중 4명(42.3%)이 위기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직무별로 살펴보면 ‘마케팅’이 63%로 가장 많은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업무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재무·회계 56.5% ▲구매·자재 55.3% ▲광고·홍보 50% ▲인사·총무 47.6% ▲제조·생산(46.1%) 순이었다.
반면, 연구개발(31.7%)과 기획·전략(32.6%), 디자인(34.2%) 등은 위기감을 느낀 비율이 비교적 적었다.
AI가 자신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단순하게 반복하는 업무가 많아서’라는 ㄴ응답이 43%(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자동화할 수 있는 업무가 많아서(42%) △데이터 활용이 빈번한 직무라서(38.7%) △빠른 업무 처리가 필요한 업무라서(31.1%) △장시간 업무를 진행하는 일이 많아서(14.1%) △방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직무라서(13.5%) 등이었다.
또 응답자들은 본인의 업무 중 약 60% 정도를 AI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AI와 함께 일할 때 성과에 대해서는 ‘AI의 성과가 더 뛰어날 것’(41%)으로 예상했고, ‘비슷할 것’이라는 답변이 32.5%, ‘나의 업무 성과가 더 나을 것’이라는 답변은 26.5%였다.
한편, 전체 응답자들은 AI가 사람 대신 업무를 진행할 때 강점으로 ‘빠른 연산처리 능력’(67.7%, 복수응답)을 1위로 선택했다.
이어 ‘정교한 데이터 분석’(56%), ‘비용 절감’(47.9%), ‘적은 실수’(46.6%), ‘근로, 휴게시간 등 인사적인 제약 적음’(34.2%) 등을 강점으로 꼽았다.
AI의 약점도 분명했는데, ‘감정, 공감 능력 부족’(64.5%, 복수응답),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부족’(57.6%), ‘융통성 없음’(53.1%), ‘위기대응 능력 부족’(51.7%)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