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위드 코로나를 기점으로 재택근무 비율이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재택근무 시행 및 지속여부’에 관해 설문조사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 기업의 53%는 코로나 확산 이후 ‘재택근무’를 실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택근무 비율은 수도권 기업(58.1%)이 수도권 외 기업(41.1%)보다 높았다.
재택근무 시 업무 효율에 대한 만족도는 ‘80점’(25%)이 가장 많았고, ‘70점’(18.4%), ‘90점’(13.4%), ‘100점’(12.5%) 등의 순으로 생산성은 비교적 높게 평가하는 기업들이 많았다.
그러나 위드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 방식을 지속해서 유지할 계획인 기업은 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IT’가 28.7%로 ‘재택근무 유지한다’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보험 27.3% ▲식음료·외식 20% 등이었다.
이들 기업이 재택근무를 지속하는 이유는 ‘유연한 근무형태가 안착되고 있어서’(50%, 복수응답)와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서’(50%)라는 이유가 1순위로 꼽았다.
이외에도 ‘업무 효율에 차이가 없어서’(40.8%), ‘여전히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있어서’(29.2%), ‘재택근무 시스템을 잘 갖춰서’(24.2%) 등이 있었다.
운영 방식은 ‘개인의 자율적 선택(횟수 제한 없음)’(25%)이 가장 많았고, ‘주5일 재택’(24.2%), ‘주2일 재택’(19.2%), ‘주3일 재택’(10.8%) 등이 이어졌다.
또 기업들 절반 가까이(48.1%)는 향후 유연한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