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학사 운영 안정화 위한 여야 협력 촉구, 의료계와도 대화 이어갈 것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0월 11일(금),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의과대학 운영 대학 40개 총장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학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 대책을 설명하고 학생들의 복귀와 학사 운영을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정부는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와 학생 복귀를 목표로 2025학년도에 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대학과 협력하기로 했으며, 대학 자율적 휴학 승인 등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9일 의과대학이 설치된 40개 대학 총장들과의 영상 간담회를 통해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와 학생 복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정부와 대학은 2025학년도에는 학생들이 복귀하고 의대 학사가 정상화되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교육부는 대한의학회와 한국의학교육협의회(KAMC)의 입장, 국회의 의견 및 각계 제안을 수용해 학생들이 개별적인 사유로 휴학을 신청하는 경우 대학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승인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는 의대 학사 운영 정상화와 학생 복귀 촉진을 목표로 대학의 요구를 대승적 차원에서 수용한 것이다.
대학 총장들은 “2025학년도 교육과정 준비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의 이번 자율적 휴학 승인 조치는 대학들이 조기에 교육과정을 수립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또한, "학생 복귀가 불투명한 현재, 집단 유급 등 학생들의 불이익을 방지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대학은 현행 학칙에 따라 최대 1년간 휴학 신청이 가능하므로, 2025학년도에 학생 복귀가 큰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더해 총장들은 “학생 복귀와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대학과 사회의 공통된 기대를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학업을 이어가고 있는 학생들에게 대학 차원의 따뜻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참여 대학들은 이에 응답하며 "현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들을 위해 노력해온 대학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오늘 논의가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대학, 의료계가 여야의정협의체에서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의 길을 함께 찾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간담회는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의 중요한 논의의 장이 되었으며, 정부와 대학이 학생들의 학습권 보호와 의학교육 발전을 위한 협력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