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혁신처에 삼성맨 출신으로 알려진 이근면 처장이 부임하면서 공직채용제도 전반에 대한 변화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특히 지난 21일 열린 인사혁신처의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근면 처장은 국민인재 채용 및 공직개방 확대 등 대대적인 손질을 감행할 것을 예고했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공직가치 검증을 위해 면접방식 및 평가체계를 개선한다는 내용이다. 즉 면접시험이 대폭 강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현재로써는 면접시험이 어떤 방식으로 강화될지 확정된 사항은 없지만, 공직가치 검증이라는 기치 아래 현행보다 더욱 강화될 것은 확실해 보인다.
또한 개방형 직위를 민간에만 개방하는 ‘경력개방형 직위’로 개편한다. 개방형 직위 지정비율의 경우 일률적인 지정(現 20% 범위) 대신, 부처 특성을 고려하여 민간 전문성이 필요한 직위로 재지정 한다.
더불어 오는 2017년까지 5급 이하 공채·경채 신규채용 비율을 5:5로 조정하고, 인사혁신처 주관 ‘7급 민간경력자 채용 시험’을 시험 실시한다.
‘7급 민간경력자 채용시험’의 경우 전산·법무·세무 등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직무군 또는 직렬(류)별 선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6급 이하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정보화 자격증 등 불필요한 스펙을 가산점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이밖에 인사혁신처는 국민인재 추천제 등 다양한 국가인재를 적극 발굴할 뜻을 내비쳤다. 국민, 민간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다양한 분야(농업·문화 등)에 숨은 인재를 추천 받아 국가인재 DB에 등재, 분야별 인재 풀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장애인·지역인재 등 사회통합형 인재채용도 확대한다. 장애인 공채 구분모집을 확대하고, 중증장애인 경채 직위 30개 이상을 발굴한다.
또 지역인재 추천채용제 7·9급 선발을 확대하고, 올해부터 지방인재채용 목표제를 7급 공채에도 적용하게 된다. 이는 지방학교 출신 합격자가 일정비율(5급 20%, 7급 30%)에 미달할 경우 추가 선발하는 제도이다.
9급 공채 저소득층 구분모집 선발비율을 1%에서 2%로 확대하고, 6급 이하 채용 시 의사자 배우자·자녀에 가점을 주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같이 인사혁신처가 공직 개방 확대를 위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국민인재를 공직에 적극 초빙하고, 공무원도 민간 등에 진출하여 쌍방 교류를 통한 경쟁력을 제고시키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2017년부터는 5급 공채 1차 시험에 헌법과목이 추가된다. 인사혁신처는 “헌법소양을 검증하기 위해 5급 공채 1차 시험에 헌법과목을 추가할 것”이라며 “일정점수, 예를 들어 60점 이상을 취득한 경우 통과하는 방식(Pass/Non-Pass)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선용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