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25. 서울시 문제는 문법의 중요도를 실감할 수 있는 시험이었다
. 영역별 문항 수는
‘현대국어문법
5, 중세국어문법
1, 어문규정
5, 어휘
5, 비문학 독해
1, 국문학사
3’으로 정리할 수 있다
. 이론 문법은 음운론
, 형태론
, 문장론
, 의미론에 걸쳐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고
, 어문 규정도
4대 어문 규정 중 로마자표기법을 제외한 규정들이 출제되었다
. 서울시 시험의 특징인 국문학의 시대적 의미를 묻는 문제도 출제되었다
. 비문학 독해는 서울시에서는 잘 출제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 서울시 시험을 치를 때는 문법과 문학을 중심으로 학습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