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0년까지 매년 500여 명의 소방인력을 추가 증원하여 현재 82% 수준인 소방관 3교대 근무비율을 100%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또 구조나 화재진압 활동 중 입은 부상에 대해 치료비를 도가 전액 부담하기로 하는 등 획기적인 소방관 근무환경개선과 복지 향상을 위해 2018년까지 2,34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 3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남경필 도지사는 소방현장인력의 전원 3교대 전환, 맞춤형 보육서비스 지원, 부상 소방관에 대한 의료비 전액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소방령 이병곤 플랜’을 발표했다.
현재 도내 일부 소방서에는 인력부족으로 24시간 근무 후 하루를 쉬는 2조 2교대 근무가 시행 중인데, 피로누적과 비정상적인 생활 등의 문제를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이에 따라 도는 인력 충원을 통해 3교대 근무율을 2016년 82%에서 2020년 10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내 소방인력은 현재 7,388명으로 2020년이 되면 9,534명이 된다.
한편, 이날 남경필 도지사는 “지진이나 화재, 테러 등 각종 재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재난 현장의 주역인 소방관의 안전이나 처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서 “일류 소방관이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첫 걸음이다. 영웅을 영웅답게 대우하는 것이 최상의 소방력을 갖추는 지름길이란 생각으로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서해대교 화재현장에서 안타깝게 순직하신 故 이병곤 소방령의 부인으로부터 받은 손 편지를 아직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그날의 아픔을 기억하면서 대책 마련을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기도가 밝힌 소방력 강화방안은 ▲장비와 인력 확충 ▲근무환경 개선 ▲의료서비스 혁신 ▲노후 소방장비 전면교체 ▲특수재난 대비태세 강화 ▲대응능력 향상 등 6개 분야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