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인 10명 중 7명이 2021년 연봉을 동결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978명을 대상으로 ‘2021년 희망연봉’에 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6.6%가 ‘올해 연봉이 동결됐다’라고 밝혔다.
반면 ‘인상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8.5%였고, ‘삭감됐다’라고 밝힌 직장인은 4.9%로 집계됐다.
연봉이 인상된 직장인(564명)들의 평균연봉 인상률은 4.3%였다. 2021년 물가 상승률이 1%대임을 고려하면 이보다는 높은 수치다.
또 직장인들의 희망연봉은 △사원급 4,028만 원 △대리급 4,791만 원 △과장급 5,912만 원 △부장급 7,597만 원이었다.
그러나 현재 받는 직급별 평균연봉은 ▲사원급 3,278만 원 ▲대리급 3,897만 원 ▲과장급 4,817만 원 ▲부장급 6,372만 원으로 희망하는 연봉보다 평균적으로 1,000만 원 가까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73.3%는 현재 본인이 받는 연봉이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로는 ‘첫 연봉 결정 시 이미 낮게 시작해서’라는 응답이 32.8%(복수응답)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실적에 기여한 바에 비해 낮아서’라는 응답이 29.3%였고, ‘동종업계 동일직무 수준보다 낮아서’(28.5%), ‘타 업종의 동일직급·직무보다 낮아서’(19.2%), ‘야근, 휴일 출근 등 근무한 시간보다 연봉이 적어서’(18.2%), ‘직무 차이로 인해 같은 직급인데 연봉이 낮아서’(18.2%) 등의 이유였다.
더욱이 직장인은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직장생활 퇴직 전에 목표로 하는 최고 금액의 연봉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65.4%였다.
그 이유로는 ‘회사 전반적으로 연봉이 낮아서’라는 응답이 48.5%(복수응답)로 1위에 꼽혔다.
이어 ‘변수가 많아서’(27.3%), ‘경기 불황이 계속될 것 같아서’(26%), ‘코로나19 여파로 직장생활 유지도 쉽지 않아서’(21.9%) ‘회사 성장이 둔화하고 있어서’(19%) 등의 순으로 구조적 문제와 사회적 불안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코로나19가 직장 내 연봉 인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43.7%였다. 가장 큰 영향으로는 ‘연봉 협상이 아예 진행되지 않았다’(41.3%)였다. 이어 ‘전사 임금 동결’(34.9%), ‘임직원 연봉 삭감’(10.1%), ‘무급휴가 진행’(8.9%)의 영향이 있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