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가 발표한 「한눈에 보는 정부 2021」서 3개 부문 상위권 올라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대한민국 공무원 인사관리가 세계적인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공무원 인사관리 평가에서 대한민국은 공무원 채용과 고위공무원 관리 부문 3위를 차지했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우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9일 발표한 「한눈에 보는 정부 2021 (Government at a Glance 2021)」 공무원 인사관리 분야 평가에서 한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한눈에 보는 정부 2021」은 지난 2009년부터 2년마다 회원국들의 정부 활동과 경험, 성과와 과제 등을 담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행하는 대표 간행물이다.
올해 보고서는 공공분야 재정, 고용, 예산, 인사관리, 규제, 조달 등 총 14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이 중 공무원 인사관리 분야에서는 공무원 모집‧채용, 고위공무원 관리, 공직 다양성과 포용성 등 3개의 신규 지표가 채택되어 평가가 이뤄졌다.
먼저 ‘공무원 모집‧채용’ 부문은 우수 후보자의 유치, 다양한 인재 후보군(인력풀)의 활용 노력 등을 인정받아 총 38개국 중 3위를 차지했다.
또 ‘고위공무원 관리’ 부문에서는 리더십 역량개발 및 성과·책임성 제고를 위한 정책 활용도가 높게 평가돼 평가 대상 37개국 중 캐나다와 영국에 이어 3위에 올랐다.
다만, ‘공직 다양성과 포용성’ 부문에서는 인력의 다양성, 장애인 등 소수집단의 공직 진출 유도 노력 등으로 총 38개국 중 11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는 한국 정부의 여러 인사제도가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고위공무원단 역량평가 제도가 고위공무원 후보자들의 정책 난제 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한 사례로 평가했다.
또 양성평등 분야에서는 여성 장관 비율이 지난 2012년 11.1%에서 올해 27.8%로 크게 상승한 점도 언급했다.
인사혁신처 조성주 기획조정관은 “이전 발표 결과에 이어 올해 새롭게 도입된 지표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아 고무적”이라면서 “세계 선진국 수준의 한국의 우수한 인사행정을 더욱 발전시키는 동시에 국제사회에도 이를 알리고 확산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