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평생직장에 대한 개념이 희미해지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들은 50대 초반이면 정년퇴직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직장인 534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체감하는 정년퇴직 시기」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평균 정년퇴직 나이가 ‘51.7세’로 조사됐다.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정년퇴직 시기는 근무 기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정년퇴직 시기가 ‘평균 49.5세’로 가장 낮았고, 이어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이 각 그룹별 ‘평균 51.7세’로 같았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직장인이 체감하는 정년퇴직 시기도 ‘평균 53.8세’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체감하는 정년퇴직 시기는 연령대와 비례해 높았다. 20대가 평균 51.4세로 가장 낮았고, 30대 평균 51.5세, 40대 이상 52.7세 순으로 조사됐다.
또 직장인들은 평균 51.7세에 ‘부장급’으로 정년퇴직할 것이라 예상했다.
‘정년퇴직할 때 직급은 무엇일 것이라 예상하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0.3%가 ‘부장급’이라 답했다. ‘차장급’이라 답한 응답자도 19.7%로 다음으로 많았다. 임원까지 승진하여 ‘임원급’으로 정년퇴직 할 것이라 예상하는 직장인은 14.6%에 그쳤다.
한편, 정년퇴직 시기가 빨라진 만큼 일찍부터 ‘은퇴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정년퇴직 이후를 준비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8%가 ‘준비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20대 직장인 중에도 45%로 5명 중 2명 이상이었다.
이어 30대(51.1%)와 40대 이상(57.8%)의 직장인 중에는 과반 이상이 정년퇴직 이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년퇴직 이후를 위한 준비 항목 1순위는 ‘경제력’이었다.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해 무엇을 준비하는지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은퇴 후 경제력을 위해 저축과 투자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다음으로 △계속 일하기 위해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다(53.0%) △윤택한 생활을 위해 취미와 특기를 준비한다(50.4%)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37.2%) △계속 일하기 위해 알바/N잡으로 다양한 일을 경험하고 있다(35.7%) 등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