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 참여기업 간담회 개최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정부가 공공지능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해 민간과 머리를 맞댄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 16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과정에서 민간의 역할과 참여를 확대하고자 민·관이 함께 모여 공공지능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기업간담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 삼성전자 등 다양한 기업(플랫폼, 은행·카드·보험, 통신 등)이 한자리에 모여 공공지능 정책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에 대한 각종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의 장으로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그동안 공공서비스에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의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한 디지털정부 고도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라며 “특히, 코로나19 위기 극복과정에서의 사회적 변화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신규 수요 등을 반영하여 각종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해 옴으로써, 국민의 편익을 높여 왔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의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국민비서, 공공 마이데이터, 전자증명서, 모바일 신분증 등의 서비스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국민비서는 네이버·카카오톡 등 민간앱 등을 통해 국민에게 필요한 각종 생활정보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채팅로봇(챗봇), 음성인식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상담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또 공공 마이데이터는 행정·공공기관과, 은행·카드·보험·증권사 등 76개 금융기관 등이 서로 연계되어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의 구비서류 간소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자증명서는 종이 증명서 대신, 각종 민원 증명서를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전자문서지갑을 통해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쉽게 발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지난 7월부터 전국 모든 운전면허시험장과 경찰서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이 개시됨에 따라, 본격적인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플라스틱 운전면허증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개인 스마트폰에 저장 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공공서비스와 민간서비스 간 연계를 확대하고 공공서비스를 민간에 보다 확대 개방하며, 이러한 추진과정에서 민간 기업의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수렴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보람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장은 “이번 기업간담회를 계기로,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 제공과정에서의 정부와 민간 간 협업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라면서 “민간의 우수한 서비스와 기술력을 접목하여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가시적 성과를 이루어 나가도록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