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개론]
신용한 메가 공무원 행정학 전임
총 평
![]() |
2. 법 조문 문제들을 문항별로 보면 10번의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이나 14번의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 16번의 ‘소청심사제도’, 17번 ‘지방자치법’의 문제들이 난이도가 높았던 문제였습니다.
- 특히 10번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이나 14번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의 내용은 중요 조문의 숙지나 암기 여부를 묻는 문제가 아니라 ‘권한자’라는 행정매커니즘이나 ‘사적 이해관계자’개념에 대한 이해나 유추 능력을 묻는 문제였습니다. 점수를 통한 서열화가 필요한 객관식 시험에서 출제기관의 고민은 이해되지만, 이런 문제가 계속 출제된다면 과연 행정학의 시험 범위를 어디까지 생각해야 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 다만, 16번 소청심사제도는 행정기관 공무원 중 유일하게 검사는 소청심사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 17번 정책지원관 제도는 의회의 전문성강화를 위해 지방자치법 전면 개정시 새롭게 도입된 제도라는 점 등은 강의와 교재를 통해서 강조한 내용인 만큼 꼼꼼히 준비한 수험생들에게는 점수를 차별화 할 수 있는 문항이었습니다.
3. 나머지 문항들은 기존의 중요 기출문제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된 내용으로 손쉽게 정답에 접근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습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